WALL : 매장에서 벽의 다양한 표정을 읽다..
" 벽은 건물 전체를 구성하는 한 일부로서 무척 단순해 보이지만,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모든 복잡성을
다 보여준다."
- 철학자 에드가 모랭 Edgar morin
벽은 과거의 공간을 한정하고 전체 공간을 구획하는 구조적인 기능을 통한 일차원적인 역할에서 점차 벗어나서
시각적인 연출을 통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는 벽으로서의 기능으로 변화하고 있다.
벽은 한 장소에서 공간을 분절, 한정, 결합시키기도 하며 그에 따른 인간들의 움직임을 유도하며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자기 중심적으로 하나의 환경을 해석하며,
현대에 나타난 자유로운 연출에 의한 벽은 공간과 인간을 결합시키는 특성을 가지며
새로운 공간구성의 방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다양한된 형태와 시지각적 특질로 내.외부 공간의 연속성을 지으며 공간과 인간의 상호 소통관계를 조절하는
현대공간에서의 벽은 공간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극대화시켜서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벽과벽의 관계
벽과 벽의 관계를 통해 공간이 형성되는 것
표현특성 |
표현양상 |
평평한 벽 |
바닥과 밀착된 안정된 수평성 하늘로 향하는 상승된 수직성 |
오목한 벽 |
외부에서 내부로의 지향성 |
블록한벽 |
내부에서 외부로의 지향성 |
곡면의 벽 |
곡면을 통한 공간의 운동성 방향성 유연성 |
사선의 벽 |
벽의 볼륨감 표현 |
파동치는 벽 |
벽의 오목함과 볼록함을 통한 공간의 변화와강조 |
재료에 의한 벽
재료의 발달로 인한 공간의 변화는 과거의 장식적 요소를 대신해서 새로운 재료의 감촉과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건축적 디테일, 기술의 완벽함 등에 의해 나타난다.
인공적인 재료는 자연 그대로의 특성이 아닌 혼합과 변형을 통해 공간에 이용되며 이러한 현상은 공간에 새로운 방법으로 재료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표현특성 |
표현양상 |
투명한 재료 |
빛의 투과,반사 공간의 확장 내.외부의 모호성 색,빛이 결합에 의한 변형성 |
불투명한재료 |
빛의내포,반사 혼성적, 현대적표현 즉물적인 질감의 표현 벽을 다른 성질로 표현 |
혼성된 재료 |
이미지의 변형 공간의 하이테크적 표현 다중성의 표현 |
색채에 의한 벽
표현특성 |
표현양상 |
기능성 |
다체로운 공간의 표현 색채를 통한 공간의 비물질화 색체에 의한 표현적 볼륨감 |
상징성 |
내,외부 연속에 희한 공간의 연결과 전이 무의미한 감성적 표현 독창적 색채를 통한 개별성 강조 |
빛에 의한 벽
표현특성 |
표현양상 |
불투명성 |
빛의 오브제화 재료에 의한 벽의 성질변화 빛에 의한 벽의 반사와 산란, 투과에 의한 양감과 중량의 제거 빛과 그림자를 통한 형태적 방향성 |
투명성 |
빛의 투영을 통한 내,외부의 일체화 스크린적 요소로의 표ㅎㄴ 건물의 형태, 시각에 따른 변화 빛을 통한 반사와 투영의 변화 |
불투명성과 투명성 |
혼홥된 효과에 의한 공간의 깊이감, 방향성 공간의 혼성적 표현 |
예술행위로서의 벽
상징 |
개념으로서의 벽 - 공간 전체이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 |
장식 |
공간의 성격 연출법 - 예술로서 시도되는 벽을 통한 표현은 공간의 성격을 결정지을 수 있다. |
이미지 |
공간에 새로우 기능적, 상징적, 의미부여를 통한 동적인 벽의 구성추구 |
디자인적 기능으로서의 벽
재 료 |
조 명 |
구 조 |
재료의 차이로 얻어지는 벽의 연출 |
조명으로 인해 연출되는 벽의 이미지 |
벽으로서 기능적인 형태나 기하하적구조로 연출 |
가변성
그라피티
웰페인팅
출처: 월이미지의 다양성에 의한 시각적 ... 중에서 김수연
계속...